AD
백종원이 표절 피해를 받은 포항 덮죽집 사장을 만나 응원했다.
16일 방송된 SBS '백종원의 골목식당'은 '힘내요 소상공인 특집'으로 진행된 가운데, 백종원이 포항 덮죽집으로 향했다.
포항 덮죽집 사장은 3개월간 레시피를 연구하며 '덮죽' 메뉴를 개발했다. 그러나 지난 10월 한 프랜차이즈 업체에 메뉴 도용 피해를 당했다. '덮죽덮죽'으로 상표를 출원하고 골목식당을 연상하게 하는 광고로 일각에서 포항 덮죽집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오해했다.
백종원은 "그분은 워낙 착실해서 문제가 없겠거니 했는데 이런 문제가 생기네"라고 한탄하며 "우리라도 보호해드려야 한다. 식당을 하면 기댈 데가 없어서 외롭다. 알면서도 당하는 것도 안 되게 많다. 좋은 선례를 남겨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백종원과 제작진을 만난 덮죽집 사장은 "이렇게 울어본 적이 없다"라며 눈물을 흘렸다. 그는 "나는 정말 느리게 가고 싶다. 그런데 하루가 다르게 계속 다른 일들이 생기더라. 많이 힘들어서 선생님을 꼭 만나고 싶었다"라고 토로했다.
덮죽집 사장은 손님으로부터 메뉴 도용을 처음 알게 됐다고 말했다. 그는 "서울에서 온 손님으로부터 강남점에 오픈하셨느냐는 이야기를 들어서 처음에는 무슨 말인지 몰랐고 '열심히 할게요'라고 답만 했다. 이후 3팀으로부터 같은 이야기를 들었다"라고 말했다.
이후 동생이 해당 내용을 기사로 확인했고, 결국 제작진 도움을 받아 해당 업체에 내용 증명을 보냈다고. 하지만 "이를 수신 확인한 것도 바로 확인했는데 이후 연락이 계속 없었다. 밤새 잠을 못 자고 내 SNS로 심경을 토로했다"라고 당시 상황을 설명했다.
SNS 심경 토로 후 이 같은 사실이 이슈화됐고, 논란이 커지자 해당 업체가 포항 덮죽집을 찾아왔다. 덮죽집 사장은 "동생이 있는데 불쑥 찾아와 가게 앞에서 무릎을 꿇었다고 하더라. 찾아오기 전 시정하거나, 연락 방법이 있었을 텐데 그런 상황 모두 무서웠다"라고 혼란스러웠던 속내를 고백했다.
그는 "덮죽을 갖고 특허를 내라는 손님이 많았지만, 이건 특허로 낼 게 아니라고 말해왔다. 덮밥이 있지 않나. 누구나 발전시킬 수 있는 아이디어라고 생각했다"라고 말했다.
백종원 역시 "왜 그걸 같은 이름의 브랜드로 가져갔는지 이해가 안 된다"라며 "누구나 응용할 순 있지만, 그 이름 그대로 사장님인 척해서는 안 된다. 아이디어 카피보다 상호와 메뉴명으로 사칭한 것이 문제"라고 일침을 가했다.
이어 "이렇게 혼자 힘으로 못하는 것에 버팀목이 돼 줄 수 있다. 내가 다 겪어봐서 안다. 자포자기하고 싶을 것이다. 매일 혹 달고 쓸데없는 고민을 하게 된다"라면서 "우리가 있다, 싸움은 내가 대신해줄 테니 걱정하지 마시라. 사장님 초심도 함께 지켜서 해결해드리겠다"라고 약속했다.
YTN Star 최보란 기자 (ran613@ytnplus.co.kr)
[사진제공 = '골목식당']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16일 방송된 SBS '백종원의 골목식당'은 '힘내요 소상공인 특집'으로 진행된 가운데, 백종원이 포항 덮죽집으로 향했다.
포항 덮죽집 사장은 3개월간 레시피를 연구하며 '덮죽' 메뉴를 개발했다. 그러나 지난 10월 한 프랜차이즈 업체에 메뉴 도용 피해를 당했다. '덮죽덮죽'으로 상표를 출원하고 골목식당을 연상하게 하는 광고로 일각에서 포항 덮죽집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오해했다.
백종원은 "그분은 워낙 착실해서 문제가 없겠거니 했는데 이런 문제가 생기네"라고 한탄하며 "우리라도 보호해드려야 한다. 식당을 하면 기댈 데가 없어서 외롭다. 알면서도 당하는 것도 안 되게 많다. 좋은 선례를 남겨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백종원과 제작진을 만난 덮죽집 사장은 "이렇게 울어본 적이 없다"라며 눈물을 흘렸다. 그는 "나는 정말 느리게 가고 싶다. 그런데 하루가 다르게 계속 다른 일들이 생기더라. 많이 힘들어서 선생님을 꼭 만나고 싶었다"라고 토로했다.
덮죽집 사장은 손님으로부터 메뉴 도용을 처음 알게 됐다고 말했다. 그는 "서울에서 온 손님으로부터 강남점에 오픈하셨느냐는 이야기를 들어서 처음에는 무슨 말인지 몰랐고 '열심히 할게요'라고 답만 했다. 이후 3팀으로부터 같은 이야기를 들었다"라고 말했다.
이후 동생이 해당 내용을 기사로 확인했고, 결국 제작진 도움을 받아 해당 업체에 내용 증명을 보냈다고. 하지만 "이를 수신 확인한 것도 바로 확인했는데 이후 연락이 계속 없었다. 밤새 잠을 못 자고 내 SNS로 심경을 토로했다"라고 당시 상황을 설명했다.
SNS 심경 토로 후 이 같은 사실이 이슈화됐고, 논란이 커지자 해당 업체가 포항 덮죽집을 찾아왔다. 덮죽집 사장은 "동생이 있는데 불쑥 찾아와 가게 앞에서 무릎을 꿇었다고 하더라. 찾아오기 전 시정하거나, 연락 방법이 있었을 텐데 그런 상황 모두 무서웠다"라고 혼란스러웠던 속내를 고백했다.
그는 "덮죽을 갖고 특허를 내라는 손님이 많았지만, 이건 특허로 낼 게 아니라고 말해왔다. 덮밥이 있지 않나. 누구나 발전시킬 수 있는 아이디어라고 생각했다"라고 말했다.
백종원 역시 "왜 그걸 같은 이름의 브랜드로 가져갔는지 이해가 안 된다"라며 "누구나 응용할 순 있지만, 그 이름 그대로 사장님인 척해서는 안 된다. 아이디어 카피보다 상호와 메뉴명으로 사칭한 것이 문제"라고 일침을 가했다.
이어 "이렇게 혼자 힘으로 못하는 것에 버팀목이 돼 줄 수 있다. 내가 다 겪어봐서 안다. 자포자기하고 싶을 것이다. 매일 혹 달고 쓸데없는 고민을 하게 된다"라면서 "우리가 있다, 싸움은 내가 대신해줄 테니 걱정하지 마시라. 사장님 초심도 함께 지켜서 해결해드리겠다"라고 약속했다.
YTN Star 최보란 기자 (ran613@ytnplus.co.kr)
[사진제공 = '골목식당']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