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배우 류준열이 영화 '계시록'을 준비한 과정을 설명했다.
류준열은 지난 26일 오후 서울 중구 엠버서더 서울 풀만 호텔에서 영화 '계시록' 공개를 기념한 인터뷰 자리를 갖고 YTN과 만났다. '계시록'은 지난 21일 넷플릭스를 통해 공개된 이후 글로벌 1위에 오르는 등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계시록'은 실종 사건의 범인을 단죄하는 것이 신의 계시라 믿는 목사와, 죽은 동생의 환영에 시달리는 실종 사건 담당 형사가 각자의 믿음을 쫓으며 벌어지는 이야기. 연상호, 최규석이 만든 동명의 만화를 원작으로 한다.
류준열은 성민찬 목사 역을 맡아 신념과 욕망 사이에서 심각한 갈등을 겪는 인물을 밀도 있게 연기했다. 처음 맡은 목사 캐릭터를 실감 나게 연기하기 위해 기도 장면의 대사를 직접 만들고, 실제 목사에게 조언을 구하기도 하며 적극적으로 작품을 준비한 것으로 전해졌다.
류준열은 연상호 감독과도 많은 대화를 나누며 준비했다고 후일담을 전했다. 그는 "보통은 피드백을 보내면 일주일 있다가 읽어보고 이런 식인데, 기자님들이 노트북에 타이핑을 치는 것처럼 감독님과 마주앉아 노트북을 같이 펴놓고 회의를 했다. 그 정도의 열정이 있었다"고 말했다.
배우로서는 여러 가지 시도도 많이 한 작품이라고 설명했다. 류준열은 "목소리로 표현하는 데 있어서 시도를 많이 했다. 목사나 정치인들을 많이 참고했다. 목사의 경우 유려하게 시작해서 기도가 끝날 때는 하이톤으로 바뀌는데 그런 디테일을 찾을 때 행복했다"고 밝혔다.
연출을 맡은 연상호 감독 역시 작품의 최종본을 완성하기 전까지 고민에 고민을 거듭했고, 그 모습을 지켜봤다고 말했다. 류준열은 "마지막에 조서실에 가서 녹차를 마시며 지켜보는 장면은 바뀐 것"이라며 "열변을 토하며 경찰들을 설득하는 장면이 있었는데, 과연 필요한지 감독님이 고민하시다가 그 부분을 뺐다"고 비하인드를 설명했다.
실제로 종교가 있는데 목사를 연기하는 것에 대한 부담은 없었느냐는 말에는 고개를 저었다. 그는 "이야기의 한 구성이라고 생각했고, 큰 의미를 두려 하지 않았다. 대신 교회를 오래 다녔기 때문에 더 친근하게 다가갈 수 있었다"라며 "종교 자체는 믿음을 형상화하는 데 있어서 좋은 선택인 것 같다"고 생각을 밝혔다.
이 캐릭터를 표현함에 있어서는 더 과감하게 표현하려 했다고 부연 설명했다. 류준열은 "작은 믿음과 큰 믿음으로 얘기할 때, 큰 믿음 안에서 나의 선택은 과감할 수밖에 없는 거다. 이 인물이 고민하는 순간들을 시청자분들에게 직접적으로 전달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했고, 이런 믿음을 표현하려면 과감해질 필요가 있다고 생각해 그렇게 표현했다"고 설명했다.
또한 "제가 기존에 연기할 때는 생활감, 리얼리즘을 가지고 연기했다면, 이번 작품은 한 스푼 더 넣은 느낌이다. 제 연기론과는 좀 다른데, 이 작품은 좀 그래도 된다고 생각했고 새로운 얼굴을 고민했다. 저는 기본적으로 늘 새로운 거를 하고 싶어 하는 타입인 것 같다. 너무 뻔하거나 똑같은 걸 하면 저를 찾을 이유가 없다"라고 덧붙였다.
마지막으로 류준열은 열정적으로 준비한 '계시록'이 여러 번 보고 싶은 작품으로 시청자들에게 남기를 바랐다. 그는 "두 번 봐주시길 바란다. '계시록'에는 함의가 많이 들어가 있다 보니 여러 번 보며 뜯어보면, 대사를 생각해 보면 좋지 않을까 싶다. 실제로 저도 좋아하는 영화 여러 번 보기도 한다. '계시록'이 그런 작품으로 오래오래 남았으면 좋겠다"라고 소망했다.
'계시록'은 넷플릭스에서 시청할 수 있다.
[사진제공 = 넷플릭스]
YTN star 강내리 (nrk@ytn.co.kr)
* YTN star에서는 연예인 및 연예계 종사자들과 관련된 제보를 받습니다.
ytnstar@ytn.co.kr로 언제든 연락 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류준열은 지난 26일 오후 서울 중구 엠버서더 서울 풀만 호텔에서 영화 '계시록' 공개를 기념한 인터뷰 자리를 갖고 YTN과 만났다. '계시록'은 지난 21일 넷플릭스를 통해 공개된 이후 글로벌 1위에 오르는 등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계시록'은 실종 사건의 범인을 단죄하는 것이 신의 계시라 믿는 목사와, 죽은 동생의 환영에 시달리는 실종 사건 담당 형사가 각자의 믿음을 쫓으며 벌어지는 이야기. 연상호, 최규석이 만든 동명의 만화를 원작으로 한다.
류준열은 성민찬 목사 역을 맡아 신념과 욕망 사이에서 심각한 갈등을 겪는 인물을 밀도 있게 연기했다. 처음 맡은 목사 캐릭터를 실감 나게 연기하기 위해 기도 장면의 대사를 직접 만들고, 실제 목사에게 조언을 구하기도 하며 적극적으로 작품을 준비한 것으로 전해졌다.
류준열은 연상호 감독과도 많은 대화를 나누며 준비했다고 후일담을 전했다. 그는 "보통은 피드백을 보내면 일주일 있다가 읽어보고 이런 식인데, 기자님들이 노트북에 타이핑을 치는 것처럼 감독님과 마주앉아 노트북을 같이 펴놓고 회의를 했다. 그 정도의 열정이 있었다"고 말했다.
배우로서는 여러 가지 시도도 많이 한 작품이라고 설명했다. 류준열은 "목소리로 표현하는 데 있어서 시도를 많이 했다. 목사나 정치인들을 많이 참고했다. 목사의 경우 유려하게 시작해서 기도가 끝날 때는 하이톤으로 바뀌는데 그런 디테일을 찾을 때 행복했다"고 밝혔다.
연출을 맡은 연상호 감독 역시 작품의 최종본을 완성하기 전까지 고민에 고민을 거듭했고, 그 모습을 지켜봤다고 말했다. 류준열은 "마지막에 조서실에 가서 녹차를 마시며 지켜보는 장면은 바뀐 것"이라며 "열변을 토하며 경찰들을 설득하는 장면이 있었는데, 과연 필요한지 감독님이 고민하시다가 그 부분을 뺐다"고 비하인드를 설명했다.
실제로 종교가 있는데 목사를 연기하는 것에 대한 부담은 없었느냐는 말에는 고개를 저었다. 그는 "이야기의 한 구성이라고 생각했고, 큰 의미를 두려 하지 않았다. 대신 교회를 오래 다녔기 때문에 더 친근하게 다가갈 수 있었다"라며 "종교 자체는 믿음을 형상화하는 데 있어서 좋은 선택인 것 같다"고 생각을 밝혔다.
이 캐릭터를 표현함에 있어서는 더 과감하게 표현하려 했다고 부연 설명했다. 류준열은 "작은 믿음과 큰 믿음으로 얘기할 때, 큰 믿음 안에서 나의 선택은 과감할 수밖에 없는 거다. 이 인물이 고민하는 순간들을 시청자분들에게 직접적으로 전달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했고, 이런 믿음을 표현하려면 과감해질 필요가 있다고 생각해 그렇게 표현했다"고 설명했다.
또한 "제가 기존에 연기할 때는 생활감, 리얼리즘을 가지고 연기했다면, 이번 작품은 한 스푼 더 넣은 느낌이다. 제 연기론과는 좀 다른데, 이 작품은 좀 그래도 된다고 생각했고 새로운 얼굴을 고민했다. 저는 기본적으로 늘 새로운 거를 하고 싶어 하는 타입인 것 같다. 너무 뻔하거나 똑같은 걸 하면 저를 찾을 이유가 없다"라고 덧붙였다.
마지막으로 류준열은 열정적으로 준비한 '계시록'이 여러 번 보고 싶은 작품으로 시청자들에게 남기를 바랐다. 그는 "두 번 봐주시길 바란다. '계시록'에는 함의가 많이 들어가 있다 보니 여러 번 보며 뜯어보면, 대사를 생각해 보면 좋지 않을까 싶다. 실제로 저도 좋아하는 영화 여러 번 보기도 한다. '계시록'이 그런 작품으로 오래오래 남았으면 좋겠다"라고 소망했다.
'계시록'은 넷플릭스에서 시청할 수 있다.
[사진제공 = 넷플릭스]
YTN star 강내리 (nrk@ytn.co.kr)
* YTN star에서는 연예인 및 연예계 종사자들과 관련된 제보를 받습니다.
ytnstar@ytn.co.kr로 언제든 연락 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