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초점] 물의 연예인 영구 퇴출이 답? '미워도 다시 한 번'의 필수 조건

[Y초점] 물의 연예인 영구 퇴출이 답? '미워도 다시 한 번'의 필수 조건

2025.05.07. 오전 11:24.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그룹 위너(WINNER)가 오는 7월, 약 3년 3개월 만에 콘서트를 열고 팬들과 재회한다. 하지만 이번 무대에 송민호는 오르지 않는다.

송민호는 2023년부터 사회복무요원으로 복무해왔으나, 근무 중 지각과 무단결근 등 부실 복무 의혹이 제기되면서 병무청의 수사 의뢰를 받았고, 경찰에 불구속 입건돼 조사를 받았다. 지난해 12월 소집 해제를 끝으로 복무를 마쳤지만, 이후 활동은 중단된 상태다. 이번 콘서트 역시 그의 이름은 빠져 있다.

사회적 물의를 일으킨 연예인의 복귀 시점은 언제가 적절한가. 또 어떤 조건이 충족돼야 대중이 그들을 다시 받아들일 수 있을까.



사진=OSEN

전문가들은 “복귀 자체보다 그 과정과 태도가 더 중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선종문 변호사는 연예인이 대중, 특히 청소년의 동경 대상이라는 점에서, 별다른 설명 없이 무대에 복귀하는 것은 “잘못해도 괜찮다는 메시지로 읽힐 수 있다”며 우려했다. 그는 “물론 누구나 실수할 수 있고, 법적 책임을 졌다면 다시 시작할 기회는 있어야 한다”면서도 “법적 책임과 사회적 책임은 다르다”고 강조했다.

이 같은 맥락은 최근 사례들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마약 투약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던 배우 유아인은 모든 활동을 중단한 상태였지만, 최근 ‘디렉터스컷 어워즈’ 남자배우상 후보에 오르며 다시 논란의 주인공이 됐다. 넷플릭스 ‘오징어 게임 시즌2’에서 활약한 탑(T.O.P)의 연예계 복귀에 대해서도 평가가 첨예하게 엇갈린다.

박송아 대중문화평론가는 물의 연예인의 복귀가 단순한 ‘재기’가 아닌 산업 전략의 일부가 되는 구조에 주목했다. 그는 “시간이 지나 논란이 잠잠해지면, 충성도 높은 팬덤과 콘텐츠 수익성이 복귀를 가능하게 만든다”며 “특히 코미디 예능처럼 자기 희화화가 가능한 포맷은 대중의 비판을 공감으로 전환시키는 데 효과적”이라고 분석했다.
사진제공=더 시드

다만, 이러한 구조 안에서도 도덕적 판단은 여전히 유효하다. 박 평론가는 “일부 팬들은 연예인을 ‘내 사람’이라 여기며 맹목적인 지지를 보내는데, 이런 감정적 유대가 도덕적 경계를 무디게 만들기도 한다”고 말했다. 연예인의 복귀를 지켜보는 팬덤 역시, 비판적 시선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는 의미다.

특히 마약, 음주운전, 성범죄 등 사회적 해악이 큰 범죄에 대해서는 기준이 더욱 엄격해야 한다는 데 전문가들은 공감한다. 법적 처벌이 마무리됐다는 이유만으로 곧바로 복귀가 정당화돼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결국, 대중이 받아들일 수 있는 설명과 성찰의 태도가 선행돼야 비로소 복귀의 정당성이 논의될 수 있다. 시간이 지난다고 모두가 용서받는 건 아니다. 결국, 진심 어린 성찰과 설득력 있는 태도가 없다면, 복귀의 문은 좀처럼 열리지 않는다.

YTN star 곽현수 (abroad@ytn.co.kr)

* YTN star에서는 연예인 및 연예계 종사자들과 관련된 제보를 받습니다.
ytnstar@ytn.co.kr로 언제든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