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 보기

'이판펑션'에 등장하는 '김치' 장면 [서경덕 교수팀 제공]
AD
중국에서 넷플릭스 오리지널 예능 ‘흑백요리사’를 표절한 듯한 요리 경연 프로그램이 등장해 논란이 일고 있다. 해당 프로그램에서는 ‘김치’를 ‘파오차이’로 표기해 역사·문화 왜곡 논란까지 번지고 있다.
중국 IT 기업 텐센트가 운영하는 OTT 플랫폼 ‘텐센트비디오’는 지난 17일 새 예능 프로그램 ‘이판펑션(一饭封神)’을 공개했다. 하지만 이 프로그램은 ‘흑·백수저’ 콘셉트로 요리사 계급을 나눠 경연을 펼친다는 점에서, 넷플릭스 예능 ‘흑백요리사’의 핵심 설정과 매우 유사하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특히 넷플릭스 측은 해당 콘텐츠의 판권을 중국에 판매한 적이 없다고 밝힌 가운데, 중국의 ‘콘텐츠 베끼기’ 관행에 대한 비판 여론이 거세지고 있다. 일부 중국 누리꾼들조차 유사성에 대해 비판적인 반응을 보이며 논란에 힘을 싣고 있다.
이 가운데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오늘(28일) “많은 누리꾼의 제보로 알게 됐는데, 더 충격적인 것은 프로그램에서 김치를 담그는 장면이 나오면서 이를 ‘김치’가 아닌 ‘파오차이’로 소개했다”라고 밝히며, 이를 강하게 비판했다.
‘파오차이’는 중국 쓰촨성 지방의 채소 절임 음식으로, 피클과 유사할 뿐 한국의 김치와는 전혀 다른 음식이다.
서 교수는 “중국은 지난 몇 년간 김치가 자국에서 유래했다는 ‘김치공정’을 노골적으로 벌이고 있다”며 “이제는 언론과 SNS를 넘어 OTT 플랫폼까지 활용해 김치를 왜곡하는 행위를 서슴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이 같은 상황을 오히려 기회로 삼아 중국의 짝퉁 문화를 전 세계에 고발하고, 우리의 김치를 더 널리 알릴 수 있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YTN star 최보란 (ran613@ytn.co.kr)
* YTN star에서는 연예인 및 연예계 종사자들과 관련된 제보를 받습니다.
ytnstar@ytn.co.kr로 언제든 연락 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중국 IT 기업 텐센트가 운영하는 OTT 플랫폼 ‘텐센트비디오’는 지난 17일 새 예능 프로그램 ‘이판펑션(一饭封神)’을 공개했다. 하지만 이 프로그램은 ‘흑·백수저’ 콘셉트로 요리사 계급을 나눠 경연을 펼친다는 점에서, 넷플릭스 예능 ‘흑백요리사’의 핵심 설정과 매우 유사하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특히 넷플릭스 측은 해당 콘텐츠의 판권을 중국에 판매한 적이 없다고 밝힌 가운데, 중국의 ‘콘텐츠 베끼기’ 관행에 대한 비판 여론이 거세지고 있다. 일부 중국 누리꾼들조차 유사성에 대해 비판적인 반응을 보이며 논란에 힘을 싣고 있다.
이 가운데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오늘(28일) “많은 누리꾼의 제보로 알게 됐는데, 더 충격적인 것은 프로그램에서 김치를 담그는 장면이 나오면서 이를 ‘김치’가 아닌 ‘파오차이’로 소개했다”라고 밝히며, 이를 강하게 비판했다.
‘파오차이’는 중국 쓰촨성 지방의 채소 절임 음식으로, 피클과 유사할 뿐 한국의 김치와는 전혀 다른 음식이다.
서 교수는 “중국은 지난 몇 년간 김치가 자국에서 유래했다는 ‘김치공정’을 노골적으로 벌이고 있다”며 “이제는 언론과 SNS를 넘어 OTT 플랫폼까지 활용해 김치를 왜곡하는 행위를 서슴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이 같은 상황을 오히려 기회로 삼아 중국의 짝퉁 문화를 전 세계에 고발하고, 우리의 김치를 더 널리 알릴 수 있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YTN star 최보란 (ran613@ytn.co.kr)
* YTN star에서는 연예인 및 연예계 종사자들과 관련된 제보를 받습니다.
ytnstar@ytn.co.kr로 언제든 연락 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