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Mnet 글로벌 밴드 메이킹 서바이벌 ‘스틸하트클럽’이 각 포지션별 ‘레벨 재조정’부터 3라운드 ‘듀얼 스테이지 배틀’까지, 첫 탈락자 발생을 예고하며 긴장감을 높였다.
지난 4일 방송된 ‘스틸하트클럽’ 3회에서는 드럼에 이어 보컬, 베이스, 키보드, 기타 순으로 진행된 포지션별 ‘레벨 재조정 평가’가 공개됐다. 메가 밴드 미션과 듀얼 스테이지 배틀 등 다양한 관문을 거치며 성장하는 참가자들의 모습이 그려졌다.
보컬 파트에서는 하트 패스로 올라온 리안이 “두 번 다시 오지 않을 기회”라며 열정적인 무대를 선보였다. 하성운은 “목소리와 곡이 잘 어울린다”고, 정용화는 “탄탄한 목소리”라고 평가했다. 반면 김지호와 이우연은 잇따른 가사 실수로 아쉬움을 남겼다.
베이스 파트에서는 마샤가 ‘댄서블한 연주’로 무대를 장악하며 이장원 디렉터로부터 “내가 연주했다면 이렇게 쳤을 것 같다”는 찬사를 받았다. 15세 정은찬은 귀여운 퍼포먼스로 눈길을 끌었지만 완성도에서는 다소 미흡했다.
키보드 파트의 김경욱은 절정으로 치닫는 사운드로, 오다준은 섬세한 양손 연주로 호평을 받았다. 기타 파트에서는 하드록 밴드 출신 이준호가 폭발적인 솔로로 관객을 압도했고, 10대 기타리스트 최진건은 “청춘의 에너지를 담은 무대”라는 평가와 함께 하트 뮤지션으로 선정됐다.
이날 드럼 남승현, 베이스 마샤, 기타 최진건, 보컬 이윤찬, 키보드 오다준이 각 포지션의 ‘프런트 퍼슨’으로 선정됐다. 이들은 시그널 송 ‘어떤 날의 청춘이니까’ 메가 밴드 뮤직비디오의 중심을 맡았다. 반면 베이스 박형빈, 기타 김건우, 보컬 김지호, 드럼 태사호, 키보드 최현준은 최하위로 선정돼 깃발 퍼포먼스를 수행했다.
레벨 재조정이 끝난 뒤에는 50명의 예비 뮤지션이 참여한 초대형 ‘메가 밴드’ 뮤직비디오 촬영 현장이 공개됐다. 하트 뮤지션과 백업 뮤지션으로 나뉜 참가자들은 각자의 자리에서 열정을 다했다. 백업 뮤지션들은 “뒤에서 봐도 뿌듯하다”, “다시 앞에 서고 싶다”고 소감을 전했다. 정용화와 선우정아 디렉터는 “지금 자리에서 최선을 다해 달라”고 격려했다. 완성된 뮤직비디오는 Mnet ‘엠카운트다운’을 통해 첫 공개됐고, 출연자들은 “청춘 만화의 주인공이 된 느낌이었다”고 말했다.
이후 MC 문가영은 “세 번째 관문은 두 팀이 맞붙는 ‘듀얼 스테이지 배틀’”이라고 소개하며 “이번 라운드에서 처음으로 탈락자가 발생한다”고 밝혔다. 승리 팀은 전원 생존하고, 패배 팀은 탈락 후보로 지정돼 디렉터 평가를 거쳐 각 포지션별 최하위 2명, 총 10명이 탈락하게 된다.
이번 라운드의 프런트 퍼슨은 김은찬A, 데인, 리안, 오다준, 케이텐으로, 이들은 단독 퍼포먼스와 팀 결성 권한을 부여받았다. 총 10개의 팀이 완성돼 ‘글로벌 밴드’, ‘K-POP 걸그룹’, ‘남성 록 & 밴드 아티스트’ 등 다양한 콘셉트로 맞대결을 예고했다.
3라운드의 첫 대결은 ‘글로벌 밴드’ 콘셉트의 페인리스(Painless) 팀과 뻐정 팀이었다. 페인리스 팀(김건대, 김은성, 김준영, 양혁, 장재형)은 실리카겔의 ‘NO PAIN’을 강렬하게 재해석했고, 양혁은 “무대에 미쳐 즐기는 모습을 편하게 봐주셨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뻐정 팀(김시후, 나유하, 남승현, 이윤서, 최치영)은 데이식스(DAY6)의 ‘꿈의 버스’를 청량한 밴드 사운드로 선보였다. 이장원 디렉터는 “첫 무대라 부담이 컸을 텐데 진짜 밴드 같았다”고 평가했다.
현장 투표 결과, 뻐정 팀이 총점 708점으로 승리하며 페인리스 팀이 첫 탈락 후보가 됐다. 양혁은 “점수 차가 납득되지 않는다”며 아쉬움을 전했다. 이어 ‘기억’ 팀과 ‘힐링 보이즈’ 팀의 대결이 예고되며 다음 방송에 대한 기대를 높였다.
‘스틸하트클럽’은 50명의 예비 뮤지션이 개성과 실력을 발휘하며 하나의 밴드로 성장하는 과정을 담은 글로벌 밴드 메이킹 프로젝트로, 매주 화요일 밤 10시 Mnet에서 방송된다.
[사진 제공=Mnet]
YTN star 최보란 (ran613@ytn.co.kr)
* YTN star에서는 연예인 및 연예계 종사자들과 관련된 제보를 받습니다.
ytnstar@ytn.co.kr로 언제든 연락 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지난 4일 방송된 ‘스틸하트클럽’ 3회에서는 드럼에 이어 보컬, 베이스, 키보드, 기타 순으로 진행된 포지션별 ‘레벨 재조정 평가’가 공개됐다. 메가 밴드 미션과 듀얼 스테이지 배틀 등 다양한 관문을 거치며 성장하는 참가자들의 모습이 그려졌다.
보컬 파트에서는 하트 패스로 올라온 리안이 “두 번 다시 오지 않을 기회”라며 열정적인 무대를 선보였다. 하성운은 “목소리와 곡이 잘 어울린다”고, 정용화는 “탄탄한 목소리”라고 평가했다. 반면 김지호와 이우연은 잇따른 가사 실수로 아쉬움을 남겼다.
베이스 파트에서는 마샤가 ‘댄서블한 연주’로 무대를 장악하며 이장원 디렉터로부터 “내가 연주했다면 이렇게 쳤을 것 같다”는 찬사를 받았다. 15세 정은찬은 귀여운 퍼포먼스로 눈길을 끌었지만 완성도에서는 다소 미흡했다.
키보드 파트의 김경욱은 절정으로 치닫는 사운드로, 오다준은 섬세한 양손 연주로 호평을 받았다. 기타 파트에서는 하드록 밴드 출신 이준호가 폭발적인 솔로로 관객을 압도했고, 10대 기타리스트 최진건은 “청춘의 에너지를 담은 무대”라는 평가와 함께 하트 뮤지션으로 선정됐다.
이날 드럼 남승현, 베이스 마샤, 기타 최진건, 보컬 이윤찬, 키보드 오다준이 각 포지션의 ‘프런트 퍼슨’으로 선정됐다. 이들은 시그널 송 ‘어떤 날의 청춘이니까’ 메가 밴드 뮤직비디오의 중심을 맡았다. 반면 베이스 박형빈, 기타 김건우, 보컬 김지호, 드럼 태사호, 키보드 최현준은 최하위로 선정돼 깃발 퍼포먼스를 수행했다.
레벨 재조정이 끝난 뒤에는 50명의 예비 뮤지션이 참여한 초대형 ‘메가 밴드’ 뮤직비디오 촬영 현장이 공개됐다. 하트 뮤지션과 백업 뮤지션으로 나뉜 참가자들은 각자의 자리에서 열정을 다했다. 백업 뮤지션들은 “뒤에서 봐도 뿌듯하다”, “다시 앞에 서고 싶다”고 소감을 전했다. 정용화와 선우정아 디렉터는 “지금 자리에서 최선을 다해 달라”고 격려했다. 완성된 뮤직비디오는 Mnet ‘엠카운트다운’을 통해 첫 공개됐고, 출연자들은 “청춘 만화의 주인공이 된 느낌이었다”고 말했다.
이후 MC 문가영은 “세 번째 관문은 두 팀이 맞붙는 ‘듀얼 스테이지 배틀’”이라고 소개하며 “이번 라운드에서 처음으로 탈락자가 발생한다”고 밝혔다. 승리 팀은 전원 생존하고, 패배 팀은 탈락 후보로 지정돼 디렉터 평가를 거쳐 각 포지션별 최하위 2명, 총 10명이 탈락하게 된다.
이번 라운드의 프런트 퍼슨은 김은찬A, 데인, 리안, 오다준, 케이텐으로, 이들은 단독 퍼포먼스와 팀 결성 권한을 부여받았다. 총 10개의 팀이 완성돼 ‘글로벌 밴드’, ‘K-POP 걸그룹’, ‘남성 록 & 밴드 아티스트’ 등 다양한 콘셉트로 맞대결을 예고했다.
3라운드의 첫 대결은 ‘글로벌 밴드’ 콘셉트의 페인리스(Painless) 팀과 뻐정 팀이었다. 페인리스 팀(김건대, 김은성, 김준영, 양혁, 장재형)은 실리카겔의 ‘NO PAIN’을 강렬하게 재해석했고, 양혁은 “무대에 미쳐 즐기는 모습을 편하게 봐주셨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뻐정 팀(김시후, 나유하, 남승현, 이윤서, 최치영)은 데이식스(DAY6)의 ‘꿈의 버스’를 청량한 밴드 사운드로 선보였다. 이장원 디렉터는 “첫 무대라 부담이 컸을 텐데 진짜 밴드 같았다”고 평가했다.
현장 투표 결과, 뻐정 팀이 총점 708점으로 승리하며 페인리스 팀이 첫 탈락 후보가 됐다. 양혁은 “점수 차가 납득되지 않는다”며 아쉬움을 전했다. 이어 ‘기억’ 팀과 ‘힐링 보이즈’ 팀의 대결이 예고되며 다음 방송에 대한 기대를 높였다.
‘스틸하트클럽’은 50명의 예비 뮤지션이 개성과 실력을 발휘하며 하나의 밴드로 성장하는 과정을 담은 글로벌 밴드 메이킹 프로젝트로, 매주 화요일 밤 10시 Mnet에서 방송된다.
[사진 제공=Mnet]
YTN star 최보란 (ran613@ytn.co.kr)
* YTN star에서는 연예인 및 연예계 종사자들과 관련된 제보를 받습니다.
ytnstar@ytn.co.kr로 언제든 연락 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