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 보기

사진=유튜브 채널 '354 삼오사'
AD
배우 송진우가 일제강점기 관련 발언에 대해 사과했다.
지난 25일 유튜브 채널 ‘354 삼오사’에는 방송인 알베르토 몬디, 다니엘 린데만과 게스트인 방송인 샘 해밍턴, 배우 송진우가 출연해 국제결혼을 주제로 이야기를 나눴다.
일본인 아내와 결혼한 송진우는 “학교에 가면 역사를 배우지 않나. 아이들이 일본 피가 섞여 있으니까… 역사를 배울 때 주변에 상처받았던 아이들이 있어서 그게 걱정된다”고 말했다.
이어 “나중에 역사를 배울 때 대비를 시켜준다고나 할까. ‘엄마도 일본 사람이지만 아빠는 한국 사람이다, 우린 둘 다 가지고 있다’라고 확실히 알려줬다. 그리고 ‘옛날엔 둘이 싸웠어’라고 얘기해준다”고 했다.
이에 알베르토 몬디는 “우리도 레오가 한국사에 관심이 많고 책도 읽고 하니까 ‘엄마, 일본 사람들이 진짜로 나빴다’라고 하면 ‘옛날에는 그랬는데 지금 우리 유카리 이모도 일본인이잖아. 일본 사람들 그렇게 나쁜 거 아니고 이게 역사라고 배우면 된다’고, ‘양쪽 얘기 들어봐야 한다’고 얘기한다”고 했다.
이를 본 일부 누리꾼들은 “일본이 한국을 침략한 사실이 명확한데도 이를 단순히 ‘싸웠다’, ‘양쪽 얘기를 들어봐야 한다’라고 하는 발언들이 어이없다”라는 반응을 보였다.
결국 ‘354 삼오사’ 제작진은 영상을 삭제하고 오늘(26일) 공식 커뮤니티에 사과문을 게재했다. 제작진은 “25일 업로드된 영상에서 제작진의 잘못으로 출연자의 발언이 다른 의미로 전달되게 된 내용이 있어 영상을 비공개로 전환했다”며 “출연자들의 발언이 마치 특정 사실을 왜곡하고, 잘못된 내용을 전달하는 것처럼 비추게 한 저희의 잘못”이라고 했다.
이어 “‘한국과 일본이 싸웠다’는 표현으로 역사적 사실을 축소하거나 왜곡하려는 의도가 전혀 없었다. 당시 상황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나온 발언이었지만, 편집 흐름상 단순 분쟁처럼 들릴 수 있는 뉘앙스로 전달됐다”며 “‘양쪽의 이야기를 들어봐야 한다’는 말 또한 역사를 양비론적으로 보자는 의미가 아니었고, ‘다양한 사회적·역사적 상황을 바라볼 때 여러 관점을 이해하는 태도를 지니는 게 좋겠다’라는 의미를 일반적으로 설명하는 과정에서 나온 말이었다”고 했다.
하지만 누리꾼들의 비난이 이어졌고, 송진우도 자신의 SNS에 사과문을 올렸다. 그는 “신중하지 못한 언행으로 인해 많은 분께 상처와 실망을 드린 점 진심으로 사과드린다”며 “역사를 왜곡해 아이들을 교육하고 보호하려는 의도는 전혀 없었다. 다문화 가정 아이들 사이에서 부모의 국적 때문에 생긴 혐오감이 아이들에게 무분별한 폭력으로 이어지고 있다는 주변 이야기를 듣고 두려움이 앞섰다. 그래서 ‘역사적 사실은 정확히 알되 어떤 상황에서도 폭력은 절대 해선 안 된다’는 가르침을 주고 싶었다”고 했다.
이어 “그 과정에서 아이의 시선에 맞춰 설명하겠다는 의지가 앞서 ‘싸웠다’는 잘못된 단어를 사용하게 됐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어떠한 변명도 없이 내 잘못”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송진우는 2008년 뮤지컬 ‘오! 마이 캡틴’으로 데뷔해 ‘미스터 션샤인’, ‘지리산’, ‘경찰수업’ 등 다양한 작품에 출연했다.
YTN star 공영주 (gj920@ytn.co.kr)
* YTN star에서는 연예인 및 연예계 종사자들과 관련된 제보를 받습니다.
ytnstar@ytn.co.kr로 언제든 연락 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지난 25일 유튜브 채널 ‘354 삼오사’에는 방송인 알베르토 몬디, 다니엘 린데만과 게스트인 방송인 샘 해밍턴, 배우 송진우가 출연해 국제결혼을 주제로 이야기를 나눴다.
일본인 아내와 결혼한 송진우는 “학교에 가면 역사를 배우지 않나. 아이들이 일본 피가 섞여 있으니까… 역사를 배울 때 주변에 상처받았던 아이들이 있어서 그게 걱정된다”고 말했다.
이어 “나중에 역사를 배울 때 대비를 시켜준다고나 할까. ‘엄마도 일본 사람이지만 아빠는 한국 사람이다, 우린 둘 다 가지고 있다’라고 확실히 알려줬다. 그리고 ‘옛날엔 둘이 싸웠어’라고 얘기해준다”고 했다.
이에 알베르토 몬디는 “우리도 레오가 한국사에 관심이 많고 책도 읽고 하니까 ‘엄마, 일본 사람들이 진짜로 나빴다’라고 하면 ‘옛날에는 그랬는데 지금 우리 유카리 이모도 일본인이잖아. 일본 사람들 그렇게 나쁜 거 아니고 이게 역사라고 배우면 된다’고, ‘양쪽 얘기 들어봐야 한다’고 얘기한다”고 했다.
이를 본 일부 누리꾼들은 “일본이 한국을 침략한 사실이 명확한데도 이를 단순히 ‘싸웠다’, ‘양쪽 얘기를 들어봐야 한다’라고 하는 발언들이 어이없다”라는 반응을 보였다.
결국 ‘354 삼오사’ 제작진은 영상을 삭제하고 오늘(26일) 공식 커뮤니티에 사과문을 게재했다. 제작진은 “25일 업로드된 영상에서 제작진의 잘못으로 출연자의 발언이 다른 의미로 전달되게 된 내용이 있어 영상을 비공개로 전환했다”며 “출연자들의 발언이 마치 특정 사실을 왜곡하고, 잘못된 내용을 전달하는 것처럼 비추게 한 저희의 잘못”이라고 했다.
이어 “‘한국과 일본이 싸웠다’는 표현으로 역사적 사실을 축소하거나 왜곡하려는 의도가 전혀 없었다. 당시 상황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나온 발언이었지만, 편집 흐름상 단순 분쟁처럼 들릴 수 있는 뉘앙스로 전달됐다”며 “‘양쪽의 이야기를 들어봐야 한다’는 말 또한 역사를 양비론적으로 보자는 의미가 아니었고, ‘다양한 사회적·역사적 상황을 바라볼 때 여러 관점을 이해하는 태도를 지니는 게 좋겠다’라는 의미를 일반적으로 설명하는 과정에서 나온 말이었다”고 했다.
하지만 누리꾼들의 비난이 이어졌고, 송진우도 자신의 SNS에 사과문을 올렸다. 그는 “신중하지 못한 언행으로 인해 많은 분께 상처와 실망을 드린 점 진심으로 사과드린다”며 “역사를 왜곡해 아이들을 교육하고 보호하려는 의도는 전혀 없었다. 다문화 가정 아이들 사이에서 부모의 국적 때문에 생긴 혐오감이 아이들에게 무분별한 폭력으로 이어지고 있다는 주변 이야기를 듣고 두려움이 앞섰다. 그래서 ‘역사적 사실은 정확히 알되 어떤 상황에서도 폭력은 절대 해선 안 된다’는 가르침을 주고 싶었다”고 했다.
이어 “그 과정에서 아이의 시선에 맞춰 설명하겠다는 의지가 앞서 ‘싸웠다’는 잘못된 단어를 사용하게 됐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어떠한 변명도 없이 내 잘못”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송진우는 2008년 뮤지컬 ‘오! 마이 캡틴’으로 데뷔해 ‘미스터 션샤인’, ‘지리산’, ‘경찰수업’ 등 다양한 작품에 출연했다.
YTN star 공영주 (gj920@ytn.co.kr)
* YTN star에서는 연예인 및 연예계 종사자들과 관련된 제보를 받습니다.
ytnstar@ytn.co.kr로 언제든 연락 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